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대만 영화 원작 말할 수 없는 비밀의 피아노 배틀 장면에 등장하는 세 개의 피아노 곡 중 OST 쇼팽 에튀드 흑건쇼팽의 왈츠, 시크릿을 소개하겠습니다.

     

    말할 수 없는 비밀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 원작 영화 OST 피아노 배틀

    말할 수 없는 비밀 대만 영화 피아노 배틀 장면에 등장하는 세 개의 피아노 곡 중 앞의 두 곡은 특히 자주 연주됩니다. 세 번째 곡을 제외한 앞의 두 곡은 모두 쇼팽의 작품을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세 번째 곡은 연탄곡인 데다가 혼자 치는 짧은 초반부만 해도 앞의 두 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연습과 기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주 연주되진 않습니다.

     

    첫 번째로 연주되는 곡은 흑건으로 쇼팽의 연습곡 중 하나입니다. 쇼팽 에튀드 Op.1, No. 5입니다. 사실 흑건은 피아노 전공생들의 필수 레퍼토리인 쇼팽 에튀드에서 거의 가장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곡이기도 합니다. 오른손의 모든 음표가 단 한 개를 제외하고 검은건반만을 연주하기 때문에 이렇게 불립니다.

     

    상대적이긴 하지만 후에 출판된 3곡을 제외하고 24곡의 에튀드 중에서는 가장 수월하게 연주할 수 있는 곡입니다. 원곡이 내림사장조, 플랫 6개였다면 이 편곡에서는 사장조, 샵 1개라서 오른손이 흰건반만 치게 되고 영화에서는 흑건의 맨 처음 8마디만 치다가 일명 백건이라고 불리는 편곡이 추가됩니다.

     

     

     

     

    두 번째로 연주되는 곡인 왈츠는 대중적으로 유명한 쇼팽의 왈츠 중 하나를 모티브로 하고 있습니다. 작품번호는 쇼팽의 왈츠 op.64, no.2입니다. 특히 손가락의 유연성이 의외로 많이 필요한 곡이라 편곡된 것을 치던 사람이 원곡을 연주해 보다 놀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모티브일 뿐 주요 멜로디를 제외하면 원곡에서 많이 바뀌었습니다. 인상적인 부분이라면 역시 샹룬이 상대방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곡을 연주하는 부분 DVD 부록에 따르면 사실은 연주한 것을 조금 빨리 돌렸다고 합니다. 원곡은 편곡된 것에 비해 느리고 훨씬 더 무겁습니다.

    세 번째 곡인 두금삼을 보면 상대방은 두 손으로 치지만 샹룬은 독주 파트에서 왼손으로만 칩니다. 사실 이 곡은 기존의 왼손만을 위해 작곡된 곡들에 비해서는 매우 쉽습니다. 저게 가능하냐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제로 친 사람이 있으며 모리스 라벨의 왼손만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은 물론 레오폴드 고도프스키의 왼손 버전 쇼팽 에튀드나 샤를 발랑탱 알캉의 대 연습곡 1번은 두금삼보다 훨씬 어려운 기교들로 도배되어 있으면서 표현까지 살려야 하므로 극히 어렵습니다.

     

     

     

    시크릿은 작중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곡으로 유명합니다. 곡의 상대적인 난이도에 비해서 들리는 것이 있어 보이고 속의 속도도 상당히 빠른 편이라 어려워 보이기 때문에 더더욱 많이 연주됩니다. 참고로 인터넷에 퍼진 시크릿 악보는 잘못된 부분이 상당히 많아 주의하여야 하고 특히 양손을 교차하면서 치는 부분에선 사람들에게 멋있어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말할 수 없는 비밀 DVD 케이스 안쪽에 그려져 있는 악보와 인터넷에서 떠도는 악보를 비교해 보면 이미 3번째 마디부터 한 음 틀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시크릿에는 샹룬 버전과 샤오위버전 두 가지가 있는 데 비슷 하지만 샤오위버전이 샹룬 버전의 쉬운 버전 같은 느낌이고 더 정확한 악보로 연주하고 싶다면 공식 악보를 사서 연주하면 좋습니다.

     

    샤오위 버전은 느린 버전으로 과거에서 현재로 오기만을 위한 버전입니다. 샤오위가 느린 버전을 연주하는 것은 영화에서 아주 잠깐 그것도 끝부분만 살짝 나오고 샹룬셩론 버전은 빠른 버전으로 미래에서 과거로 가기 위한 버전으로 샤오위의 느린 버전은 영화의 시크릿 악보의 원곡이고 샹룬의 빠른 버전은 샤오위가 죽기 전의 과거로 가기 위해 극적인 변주가 이루어집니다. 연습할 거라면 샤오위 버전을 먼저 연습하는 것이 좋고 그래서 빠른 버전이지만 느린 버전보다 노래 길이가 깁니다.

    반응형